News Pick
By KREMA
2025/04/29 (화) IT
2025/04/29 (화) IT
[1] 딥시크, 한국서 앱 다운로드 재개…개인정보 처리방침 게시
- - 중국 생성형 AI 서비스 딥시크가 한국 앱마켓에 재진입. - 딥시크는 한국어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공개하고 중국 법인들에 개인정보 위탁 내용을 명시. -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에 대해 다양한 개선권고 사항을 제시하고, 10일 이내에 수락하면 시정명령을 받을 수 있으며, 60일 이내에 이행결과를 보고해야 .
[2] 챗GPT, 요즘 아첨한다...샘 올트먼 "수정할 것"
- - 오픈AI 최고경영자가 챗GPT가 너무 아첨하는 성향으로 변해 수정 작업 중이라 밝힘 - 챗GPT의 아첨 문제는 최근 불거져, 업데이트 이후 더 심해졌다는 비판 - 올트먼은 AI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해야 하며, 선호 답변뿐 아니라 객관적인 도움이 되는 답변을 해야 한다고 강조
[3] AI 춘추전국시대… 신생 K-AI vs 글로벌 AI 비교해보니
-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며, 텍스트 생성형 AI와 검색형 AI 서비스가 증가 - 검색형 AI 중 대표적인 서비스인 퍼플렉시티는 MAU 3000만 명 기록하며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 스타트업인 오픈리서치가 오오에이아이를 출시해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음 - 오오에이아이와 퍼플렉시티를 비교하면, 오오에이아이가 성능, 가격, 사용자 경험 면에서 우위를 보이며, 한국에 더 최적화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고 있음.
[4] AI가 바꿀 한국 애니메이션, 위협 혹은 기회
- (본문이 없어 요약 불가)
[5] AI 재판 현실되나…대법 '사법부 인공지능위원회' 출범
- - 대한민국 법원이 '사법부 인공지능위원회' 출범 - 위원회는 인공지능 기술 도입 방향과 개발사업을 책임지며, 데이터 보호와 법적 리스크 관리 강화 - 4월 30일 '재판지원 AI 플랫폼 구축 및 모델 개발' 사업 설명회 개최하여 민간 기업과 협력하고 지능형 사법 서비스 제공 계획.
[6] 토종 AI 검색 서비스 ‘oo.ai’, 출시 6주만에 월 이용자 100만명 돌파
- - 카카오 출신 김일두가 이끄는 AI 스타트업 오픈리서치의 AI 검색 서비스 'oo.ai'가 출시 6주 만에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 100만명 돌파 - oo.ai는 검색 결과를 3초 안에 제공하며, 다른 AI 검색 서비스보다 많은 참고 문헌을 활용해 답변하는 특징 - 6주 만에 100만명 이용자 돌파, 글로벌 AI 검색 서비스 '퍼플렉시티'의 국내 MAU 55만명 추월하여 성공적인 모바일 앱 마켓 진입, 무료 제공 및 출처 표기로 신뢰성 높임,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과 일본 등에서도 현지화 작업 중.
[7] 만점 받는 AI, 과연 만능일까 [고평석의 인사이드아웃 AI ]
- - 과거 수능 시대에서 현재 AI 시대로의 변화 - AI의 시험 성적과 인간의 현실 적응력의 차이 - AI의 MCP 기술을 통한 협업과 발전, 미래의 불확실성 및 대비 방안에 대한 고찰
[8] 유모션, 광고 AI 에이전트 ‘에임’ 출시
- - 유모션의 애드테크 자회사인 유모션은 AI 광고 에이전트 '에임'을 출시하며 하이퍼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을 선보여. - '에임'은 AI와 MMM을 결합한 마케팅 솔루션으로, 실시간으로 다채널 데이터를 분석하여 광고 성과를 최적화하고 예산 효율성을 향상. - 사용자 친화적 UI·UX와 합리적인 가격 정책으로 광고주들이 쉽게 AI 마케팅을 도입할 수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
[9] 오픈소스·무제한 실험으로 무장…'글로벌 로봇 수도' 노리는 선전
- - 중국 로봇기업들은 기술을 공개하고 세계로 판매하여 선점 중 - 중국 로봇 스타트업 림스다이내믹스는 세계 대학과 연구실에 로봇을 판매하며 글로벌 플랫폼을 구축 - 미국과 중국의 로봇산업 경쟁에서 중국은 하드웨어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림스 등 중국 기업은 개방성과 실험정신으로 선전 중.
[10] MS "기업 대다수, 인간-AI 협업 형태로 바뀔 것"
- - 마이크로소프트가 '2025 업무동향지표'를 발표, 기업 노동환경이 AI와의 협업으로 재편 중임을 보여줌 - 보고서에 따르면 앞으로 2~5년 안에 대다수 기업이 인간과 AI가 함께 일하는 '프론티어 기업'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 - AI 에이전트가 업무 자동화를 진행하고, 리더의 32%는 AI 전문가를 채용할 의향을 밝히며 AI의 업무 변화를 예상함
[11] KOSA, 정부·국회에 1.5조원 규모 AI 예산 확대 요청
-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가 AI 가치사슬 혁신을 위한 1조5000억원 추가 예산을 요청 - KOSA는 인프라, 모델, 데이터, 서비스, 인재 양성 등 6대 핵심 분야에 균형 있는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 - 제안된 예산안은 AI 인프라 1500억원, 데이터 4900억원, 모델 4000억원, 서비스·응용 1700억원, 윤리·신뢰성·거버넌스 1100억원, 인력 양성 및 기업 지원 1800억원으로 구성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5/02 (금) IT (2) | 2025.05.02 |
---|---|
2025/05/02 (금) 부동산 (3) | 2025.05.02 |
2025/04/29 (화) 부동산 (2) | 2025.04.29 |
2025년 대선 이재명 후보 공약 정리 - ChatGPT 딥리서치 (0) | 2025.04.28 |
【 CEO’s Digest 】 Weekly Report _ 2025.04.28 (n.403) (5) | 2025.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