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4/14 (월) 정치

토니치코 2025. 4. 13. 23:42
News Pick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4/14 (월) 정치
[1] [대선주자에 묻다]핫이슈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 예외..전문가 "반도체청 신설해야"
- - 이재명 전 대표는 반도체 특별법 관련 유연화에 대한 태도를 보이며 노동계의 반발에 직면, 주 52시간 근로제 유연화 논의를 미루고 산업 인프라에 우선적으로 초점을 맞추는 전략을 펼침. - 김문수 전 장관은 정부 차원의 행정조치로 근로시간 유연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며, 한동훈 전 대표는 이재명의 이중적 태도를 비판하고 정치적 일관성 문제를 제기. - 반도체 전문가들은 주 52시간제 예외보다는 산업 인프라와 인재 양성이 우선이라며,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
[2] 민주당 대선후보 '당원투표 5:여론조사 5'로 뽑는다
- -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등록 기간인 5월 10일~11일 전까지 더불어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50%씩 반영해 후보를 선출할 예정. - 비명(비이재명)계 주자들은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음. - 민주당은 외부 세력의 개입 우려로 선거인단 모집 대신 일반 여론조사를 택했으며, 국민경선과 국민참여경선을 논의해 결정.
[3] 오세훈, 대선 전격 불출마…국민의힘 대권주자들 유불리는
- - 오세훈 서울시장이 6·3 대선 불출마 선언 - '빅4' 구도가 흔들려 나경원과 안철수가 수혜자로 떠오름 - 4자 구도 재편, 김문수·한동훈 vs 나경원·안철수로 전망, 오시장 지지층이 어디로 갈지 관심 쏠림
[4] 김문수 14.5% vs 한동훈 12.2%…보수주자 선호도, 오차범위 내 접전
- -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범보수 대권 주자 선호도 조사 결과 -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접전을 펼침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선 주자 선호도와 당선 가능성에서 선두,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섬.
[5] 석방된 명태균 폭로 예고성 발언…"어떤 먹잇감 먼저 뜯을까"
- -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 SNS에 '폭로 예고' 글 게시 - "먹잇감을 물고뜯어 열광할 것" 발언, "군중의 함성, 차르가 내려다보고 있다" 주장 - 지난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구속 기소된 명 씨, 석방된 후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연루된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 대권 주자들에게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
[6] 국민의힘 윤상현, 대권 도전…15일 대선후보 등록
- -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를 결심. - 윤 의원은 출정식과 출마 선언은 15일에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 국민의힘 후보로는 김문수, 홍준표, 한동훈, 나경원, 안철수, 이철우, 유정복이 대선 출마를 선언.
[7] 김경수 '지지율 1위' 이재명에 도전장…전문가들 "시너지 효과 기대"
-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대화로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 청와대 경험을 강조하며 대선 출마 선언 - 김 전 지사의 출마로 이 전 대표의 부드러움 부족을 보완하고 시너지 효과 기대 - 이 전 대표는 지지율 1위를 유지하며 김 전 지사는 부·울·경 민심을 견인할 수 있는 정치적 자산을 가지고 있음.
[8] 김동연, '대선 출마' 김경수에 "경쟁자이자 동반자로서 뜻 깊어"
- -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대선 출마 환영 발언 - "경쟁자이자 동반자로 함께할 수 있다"고 SNS 발표 - "원팀으로 빛의 연대 구축"이라며 대선 경선에 비명계 주자로 선발된 둘의 결합 언급
[9] 역선택 방지가 뭐길래…경선 룰 확정에도 국힘 내부 '시끌'
- - 국민의힘의 대통령 후보 선출 방식에 '역선택 방지 조항' 도입으로 논란 - 이 조항은 지지층 상대로만 경선을 진행할 우려 제기 - 유승민 전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층만 상대로 경선을 하겠다는 것을 비판하며 민심을 배제하는 것이라고 지적함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14 (월) IT  (3) 2025.04.14
2025/04/14 (월) 부동산  (0) 2025.04.14
2025/04/11 (금) IT  (2) 2025.04.11
2025/04/11 (금) 부동산  (2) 2025.04.11
2025/04/11 (금) 정치  (2)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