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Pick
By KREMA
2025/04/14 (월) IT
2025/04/14 (월) IT
[1] 美, 상호관세서 스마트폰·컴퓨터 제외…"애플·삼성 등 혜택"(종합)
- - 미국 정부,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 결정 - 관세국경보호국,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도 제외 대상으로 공지 - 트럼프 대통령, 미국은 중국에 125%, 그 외 국가에 10%의 상호관세 부과 중, 10%+10% 관세도 중국에 부과 중.
[2]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폐막…AI 인프라 도약 선언한 구글
- - 구글 클라우드 넥스트 2025 콘퍼런스에서 AI 칩, 글로벌 사설망 등 신기술 대거 공개 - CEO와 스타 개발자 등이 총출동해 AI 기술의 미래를 역설 - AI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멀티 에이전트 구축을 지원하며 한국 기업들도 AI 협업 방안 발표
[3] [AI 에이전트 ①] 젠슨황이 예견한 미래…AI비서 넘어 AI 매니저 둘까
- - 영화 '아이언맨' 속 AI '자비스'는 AI에이전트로, 사용자의 목적과 의도를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해 행동 - AI에이전트는 기존 AI어시스턴트와 달리 자율성을 강조하며, 사용자의 지시를 받아 여러 단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능력을 갖춤 - AI에이전트는 의료와 금융 분야에서 혁신을 이끄는 핵심 도구로 자리잡고, 시장 성장률은 연평균 44.8%로 전망됨.
[4] [AI 에이전트②] 의사·개발자·연구원 등 전문가 역할할 듯…빅테크 열전
- -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에이전트 기술과 서비스를 연이어 공개하며 'AI 에이전트' 시장 경쟁 심화 - 오픈AI의 '오퍼레이터'와 '딥 리서치', 앤스로픽의 '컴퓨터 유즈' 등 AI 에이전트들이 자율적으로 웹 검색, 코딩, 문제 해결 등 다양한 작업 수행 -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도 각각의 AI 에이전트를 발표하며 업무 자동화와 효율 향상을 강조하여 AI 에이전트 시대 도래 예고
[5] [AI 에이전트③] "미래 시장 선점" 네이버·삼성·SK·LG 등 가세
- - AI에이전트 기술이 주목받는 가운데 국내외 IT 기업들이 AI 에이전트 시장 진출 - LG전자의 '챗엑사원', SK텔레콤의 '에스터',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국내 주요 AI 에이전트 서비스 소개 - 삼성SDS의 '브리티 코파일럿', LG CNS의 '노스', SK C&C의 '에이닷 비즈' 등 AI 에이전트 기반 서비스 다양화 및 고도화 추진 중
[6] "AI에 저항? 소용없다, 배워라"…'인터넷 아버지' 서프의 조언
- - 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빈트 서프는 TCP/IP 프로토콜을 고안한 인물로, AI 기술의 변화를 주시하며 스파스 코딩 방식을 주목. - AI 에이전트 간에는 잘 정의된 교환 언어가 필요하며, MCP와 A2A 프로토콜을 통해 AI 서비스들의 협업을 강화. - 빈트 서프는 AI의 미래에 대해 작은 AI 모델과 증류(distillation) 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정보 공유와 합작을 통해 AI 기술이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
[7] "AI가 1:1 코칭"…위버스브레인, ‘맥스AI월드’ 출시
- - 교육기업 위버스브레인이 '맥스AI월드'를 출시하여 책, 워드, PDF 파일을 통해 맞춤형 외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 '위코치' AI 엔진을 활용한 서비스는 등록된 자료를 분석하여 맞춤형 학습 커리큘럼을 제작하고, 핵심 문장 학습 후 반복 연습 및 롤플레이를 통해 언어 습득 가능 - AI 튜터는 대화 내용을 모국어 자막으로 제공하여 학습자가 부담 없이 대화를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며, 글로벌 기업과의 제휴로 콘텐츠 다양성 확대 예정
[8] 오픈AI 전 CTO, 스타트업 최대 2조8천억원 초기 투자 유치 추진
- - 인공지능 스타트업 '싱킹 머신 랩'이 20억 달러 규모의 시드 투자 유치를 추진 중 - 투자 규모는 2조8천억원에 이르며, 이는 역대 AI 스타트업 최대 규모 - 전 오픈AI CTO 미라 무라티를 중심으로 오픈AI 출신들이 대거 합류하여 높은 평가 받고 있음
[9] 세금 1조원 들어간 한국 지도 데이터…구글에 넘어갈 판
- - 한국의 국산 지도앱이 MAU 1위를 차지하며 국내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음 - 미국 무역대표부가 한국의 고정밀 지도 반출 제한 조치를 부당하다고 지적하며 논란 확산 - 구글은 한국 정부의 데이터센터 설치 요구를 거부하고, 해외에 서버를 두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 주장.
[10] AI기업과 언론, '악마와의 계약' 되지 않으려면
- - 해외 미디어와 AI 기업의 제휴 소식이 도매인데, 뉴스 데이터의 가치 산정이 중요시되고 있음 - 대형 언론사들이 LLM 개발사와의 계약을 통해 자사 기사 노출을 다르게 제한하는 사례가 증가 중 - 언론계와 LLM 개발사 간 소송도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 언론사는 데이터 가치 산정과 중간업자 문제에 대응해야 함
[11] "오픈AI, 최신 AI모델 안전성 테스트 느슨해져"
- - 오픈AI가 최신 AI 모델의 안전성 테스트를 수행하는데 더 적은 시간과 자원을 투입하고 있다고 보도 - 오픈AI의 테스트 기간이 수개월에서 수일로 줄어들면서 모델의 위험요인 파악이 덜 철저해졌다는 우려 - AI 기업들은 유럽연합의 AI법에 따라 가장 강력한 모델에 대한 안전성 테스트를 의무로 해야 한다는 의견
[12] AI검색 시대, 언론사 웹사이트 접속 급감한다?
- - 구글의 AI요약 서비스 출시 이후 미디어사이트 검색 유입이 15% 감소 - 뉴스미디어뿐만 아니라 패션, 여행,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의 중소 웹사이트들도 트래픽 감소 현상 겪음 - 구글의 AI검색 서비스로 인해 사용자들이 직접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대신 요약정보를 통해 정보 획득하는 추세, 네이버도 AI브리핑 기능 출시하여 변화 예상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15 (화) 부동산 (1) | 2025.04.15 |
---|---|
2025/04/15 (화) 정치 (0) | 2025.04.15 |
2025/04/14 (월) 부동산 (0) | 2025.04.14 |
2025/04/14 (월) 정치 (0) | 2025.04.13 |
2025/04/11 (금) IT (2)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