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1순위 청약에 8만명 이상 몰려
https://www.sedaily.com/NewsView/2DFO386JX7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1순위 청약에 8만명 이상 몰려
부동산 > 분양 뉴스: 서울 송파구 신천동 진주아파트를 재건축한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1순위 청약에 8만 명 이상이 몰렸다. 22일 한국부동산원 ...
www.sedaily.com
- 서울 송파구 신천동 진주아파트 재건축 '잠실 래미안 아이파크' 1순위 청약에 8만 명 이상 몰림.
- 1순위 공급: 307가구에 8만 2487명 신청, 평균 경쟁률 268.7대 1.
- 특별공급 경쟁률: 전날 4만 명 신청, 140대 1의 경쟁률 기록.
- 84㎡ D타입: 87가구 모집, 2만 7287명 신청, 경쟁률 313.6대 1.
- 59㎡ A타입: 24가구 모집, 1만 4190명 신청, 경쟁률 591.2대 1로 최고 경쟁률.
- 59㎡ C타입: 경쟁률 415.6대 1.
- 20년 만의 잠실 대단지 신축 아파트, 분양가 3.3㎡당 5409만 원으로 송파구 최고가지만 인근 시세보다 저렴.
- 시세 차익 기대: 전용 59㎡ 분양가 15억 원대, 인근 파크리오 20억 원대 거래.\
"오피스텔 전환? 1억 달라"…르웨스트, 강제계약해지 칼 빼든 이유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3690006639055544
"오피스텔 전환? 1억 달라"…르웨스트, 강제계약해지 칼 빼든 이유
생활형숙박시설(이하 생숙)에서 오피스텔로 전환을 추진 중인 ‘마곡 르웨스트’ 시행사가 반대 입장을 고수하며 마지막까지 전환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은 수분양자 1명에 대해 강제 계약 해지
www.edaily.co.kr
- 마곡 르웨스트 : 5개 동, 지하 6층~지상 15층, 876실 규모의 생숙.
- 시행사, 생활형숙박시설(생숙)에서 오피스텔로 전환 추진 중.
- 수분양자 1명, 전환 동의서 미제출로 강제 계약 해지.
- 해당 수분양자는 전환 동의서 제출 조건으로 1억 원 요구, '신의와 성실 위반' 이유로 계약 해지됨.
- 마곡마이스PFV는 중도금 8억 118만 원을 대위변제, 계약금 몰취 처리.
- 서울시는 지난 8월 생숙에서 오피스텔로 용도 변경 및 주차장 기준 완화 결정.
- 시행사는 총 200억 원 기부 채납 조건으로 합의, 이후 지구단위계획 변경안 고시.
- 해당 수분양자가 소송에 나서지 않으면 876실 모두 전환 동의 완료.
공사비 급등, 어떤 자재가 영향 미쳤나 살펴보니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02219351
공사비 급등, 어떤 자재가 영향 미쳤나 살펴보니
공사비 급등, 어떤 자재가 영향 미쳤나 살펴보니, 부동산 프리즘 시멘트 관련 자재 비중 커 다른 자재는 오히려 가격 내려 건설업계 "상생 방안 찾아야"
www.hankyung.com
- 시멘트 관련 자재가 공사비 급등의 핵심 요인.
- 시멘트 관련 자재는 공사비에서 10% 차지, 특히 레미콘(4.5%) 비중이 높음.
- 시멘트 관련 자재 가격: 최근 3년간 30% 상승.
- 레미콘 가격: 2021년 대비 46.78% 상승(㎥당 6만1809원 → 9만727원).
- 시멘트 가격 상승률: 29.33%, 같은 기간 철근 가격 0.07% 하락.
- 건설업계 불만: 시멘트업계의 영업이익률 10.8%, 건설업계(3.0%)의 세 배.
- 정부 대책: 시멘트 시장 기능 개선을 위한 수입 지원 및 다양한 대책 마련.
- 건설업계 요구: 시멘트업계와 상생 방안 필요.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9개월 만에 하락
https://www.yna.co.kr/view/AKR20241022130100002?input=1195m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9개월 만에 하락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지난달 가계대출 관리 강화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전망지수가 9개월 만에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www.yna.co.kr
-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 9개월 만에 하락, 가계대출 관리 강화 영향.
- 금리전망지수: 4년 3개월 만에 최저치, 금리 인상 기대 감소 시사.
- 한국은행, 처음으로 3년 후와 5년 후의 기대인플레이션 공표.
- 중장기 물가 전망 정보 제공으로 경제 주체들의 의사결정에 도움 기대.
현금부자들만의 잔치… "서민은 대출 안나와 집 못 살 판"
https://www.fnnews.com/news/202410221826225706
현금부자들만의 잔치… "서민은 대출 안나와 집 못 살 판" [부동산 아토즈]
정부가 주택담보 대출 문턱을 본격적으로 높이기 시작하면서 주택 매수 때 대출 비중이 서울의 경우 40%대까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의 절반도 못 빌린 셈이다. 또 근저당 설정 건수도
www.fnnews.com
- 서울 주택담보대출 비중: 40%대로 하락, 대출 비중 감소.
- 대출 문턱 상승: 정부의 2단계 DSR 규제 등 대출 제약 강화.
- 현금부자들만의 시장: 대출 제한으로 자금 여력이 부족한 서민은 주택 매수 어려움.
- 서울 채권최고액 비율: 8월 **49.63%**에서 9월 **49.17%**로 추가 하락.
- 경기와 인천 채권최고액 비율: 각각 **63.26%**와 **71.89%**로 감소.
- 아파트 매물 증가: 서울 매물 역대 최고치인 8만9131건(10월 19일 기준).
- 현금부자들의 시장 우세: 자금 여력 있는 현금부자들이 매수에 나서며 신고가 형성.
- 금융권 대출 규제 혼선: 금융기관별 대출 가능 여부 및 금액 상이, 혼선 발생.
우미건설 '오산세교 우미린 센트럴시티' 견본주택 25일 개관
https://www.news1.kr/local/gyeonggi/5576208
우미건설 '오산세교 우미린 센트럴시티' 견본주택 25일 개관
사실 앞에 겸손한 민영 종합 뉴스통신사
www.news1.kr
- 우미건설, '오산 세교 우미린 센트럴시티' 분양 시작, 10월 25일 견본주택 오픈.
- 세교2지구 A-14 블록에 지하 3층~지상 25층, 11개 동, 총 1532가구 규모.
- 전용면적: 59㎡, 72㎡, 84㎡ 중소형 아파트로 구성.
- 가구 수: 59㎡A(244가구), 59㎡B(292가구), 59㎡C(268가구), 59㎡D(100가구), 72㎡(257가구), 84㎡(371가구).
- 청약 일정: 10월 28일 특별공급, 10월 29일 1순위, 10월 30일 2순위 청약 접수.
- 당첨자 발표: 11월 5일, 정당계약: 11월 17~20일.
엠디엠, 2세 소유 '엠디엠플러스' 승계 핵심축
https://www.bloter.net/news/articleView.html?idxno=624944
[대기업집단 공시 대해부] 문주현의 엠디엠, 2세 소유 '엠디엠플러스' 승계 핵심축
문주현 회장이 이끄는 엠디엠은 2021년 부동산 개발업체(디벨로퍼) 중 처음으로 공시대상 기업집단에 포함됐다. 엠디엠은 올해 5월 기준 자산총액 7조13억원으로 지난해보다 자산총액이 감소했으
www.bloter.net
- 엠디엠그룹, 2021년 부동산 개발업체 중 최초로 공시대상 기업집단 포함.
- 2024년 5월 기준 자산총액: 7조 13억 원, 지난해 대비 감소.
- 엠디엠과 엠디엠플러스를 주축으로 부동산 개발 사업 운영.
- 문주현 회장: 엠디엠 지분 95% 보유, 엠디엠플러스는 딸 문현정, 문초연이 각각 47.6% 지분 보유.
- 주요 지분 구조: 문주현 회장이 한국자산신탁(15.1%), 엠디엠플러스(4.8%), 엠스페이스대명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20%) 지분 보유.
- 문 회장 지배구조: 엠디엠과 엠디엠플러스를 통해 한국자산신탁 소유, 한국자산캐피탈을 손자회사로 둠.
신영그룹, 경기도 양주 서울우유 부지 개발 프로젝트 착공 시점 검토 중.
- 양주시 덕계동 152번지 대지면적 5만5591㎡, 아파트 10개동 및 복리시설.
- 아파트 1588가구, 지식산업센터 및 근린생활시설 조성.
- 건축 인허가 완료, 시공사 선정 작업 진행 중, 내년 착공 목표, 브릿지론 리파이낸싱(차환) 진행 중.
- 2025년 5월 착공 목표, 시공사 선정 준비 중.
출처 : https://dealsite.co.kr/articles/129880
신영, 양주 서울우유 부지 아파트 개발 '순항' - 딜사이트
부동산 개발업체 신영그룹이 경기도 양주에서 진행 중인 서울우유협동조합 공장부지 개발 프로젝트의 착공 시점을 저울질 중이다. 건축관련 인허가는 모두 마무리 됐으며 최근에는 시공사 선
dealsite.co.kr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O's Digest 12월 3주 (No. 384) (7) | 2024.12.16 |
---|---|
12월 12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요약 (6) | 2024.12.13 |
News pick 20241021 (5) | 2024.10.21 |
하이앤드 주거개발 정리 (by ChatGPT & Claude) (12) | 2024.10.07 |
2024년 10월2일(수) (4)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