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엔드주거개발방법론 세미나 요약
- 평면 설계의 중요성
전유 부분과 공유 면적의 경계에 대한 고민: 74평형과 110평 사이의 면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공간감 변화.
복층 설계의 기법: 복층의 공간 활용성을 강조하며 평면이 단순히 갇히지 않고 확장되는 느낌을 줄 수 있는 설계의 중요성.
고급 주거 상품에서의 평면 설계와 브랜드 파워의 연결성. - 브랜드 파워와 상품의 가치
럭셔리 주거 상품의 이름과 브랜드가 가격에 미치는 영향: '더 한남'과 같은 브랜드가 붙을 경우, 상품의 가격이 두 배 이상 상승할 수 있음.
브랜드의 유래와 중요성: 상징성, 역사성, 고급스러움 등의 요소를 통한 브랜드 강화가 핵심. - 사전 청약과 리스크 관리
사전 청약 50% 미달 시 발생하는 리스크: 청약률이 저조할 경우, 사업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큼.
사전 청약 성공 여부가 고급 주거 상품의 필수 요소. - 상징성과 고급스러움의 연결
주거 공간에서의 상징적 요소: '청와대' 같은 상징성을 부여한 조경 설계나 상징적인 건축물의 도입.
럭셔리 주거 상품은 단순히 넓은 공간이 아닌, 상징적이고 고급스러운 디테일을 요구함. - 럭셔리 주거 상품의 성공 사례
한남 더 힐, 성수동 트리마제 등 고급 주거 상품들의 성공 사례 분석.
대형 평형과 작은 평형의 조합을 통해 수요를 다양화하고, 청약률을 높이는 전략. - 고급 주거와 커뮤니티 시설
커뮤니티 시설의 중요성: 스파, 골프장, 사우나 등 부가 시설이 입주민들에게 제공하는 가치.
고급 주거 단지에서의 커뮤니티 시설과 호텔식 서비스의 도입 논의. - 드론 등 미래 기술과 고급주거상품
향후 드론 자가용의 등장과 고급 주거 상품에 미치는 영향: 드론 자가용 계류장의 필요성.
자율주행차와 드론 자가용이 고급 주거지에 미치는 변화 반영. - 고급 주거지의 입주 연령층 변화
고급 주거 상품의 입주 연령층 분석: 노령화와 함께 건강과 안전을 강조한 상품 개발 필요성.
웰빙(Well-being)과 웰니스(Wellness) 트렌드가 고급 주거 시장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 - 고급 주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발전
하드웨어 측면에서의 고급 주거 상품 설계: 주차장, 마감재, 빌트인 가구의 고급화.
소프트웨어 발전의 중요성: 장수와 건강에 중점을 둔 웰빙 트렌드를 반영한 맞춤형 주거 서비스의 도입. - 고급 주거 상품의 시장 전망
향후 고급 주거 상품의 가격 상승 전망: 기존 주택들이 이미 높은 가격을 기록하고 있으며, 신규 주택은 50억~60억 원 대로 전망.
럭셔리 주거 상품에서 창의적인 설계와 새로운 요소들이 필요함. - 청약과 입지 조건
반포와 같은 지역의 고급 주거 상품들이 입지 조건으로 인해 차별화됨: 호텔, 병원, 학군 등 다섯 가지 요소가 주요 입지 조건. - 커뮤니티의 역할
입주민들을 위한 커뮤니티 시설이 고급 주거의 필수 요소: 호텔식 서비스와 로봇 도입으로 운영 효율성 극대화.
커뮤니티 시설의 구성과 입주민들의 요구 분석. - 럭셔리 주거 상품 개발 시 주요 고려 사항
입지와 타겟 고객층 분석이 중요: 누가 살고, 어떻게 생활할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 필요.
마감재, 하드웨어, 그리고 상품 기획 단계에서의 치밀한 설계가 필수.
반응형
'일상 > 관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MIT: Real Estate Market Insight & Tech 채널 운영(안) (0) | 2025.02.16 |
---|---|
REMIT (Real Estate Insight & Tech 채널 (0) | 2025.02.16 |
서울 매력일자리 프리젠테이션 (0) | 2025.01.13 |
AI 활용 왜 ‘도메인’이 중요한가? (1) | 2025.01.04 |
중심(中心)은 한가운데 머물지 않는다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