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3/31 (월) IT

토니치코 2025. 3. 31. 03:52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3/31 (월) IT
[1] AI 발달의 끝이 인간형 로봇, 휴머노이드인 이유[경제적 본능]
- - 휴머노이드 로봇이 인간 형태여야 하는 이유는 인간 환경에 대한 적응성과 편의성 때문, 이로 인해 로봇과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효율성이 향상됨 - 중국이 휴머노이드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는 기술력 과시와 대중적인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 - 휴머노이드 기술은 미래에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군사 분야에도 활용될 전망, 중국이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
[2] AI가 정신과 의사 가르친다?…생성형 AI의 새로운 가능성
- - 코로나19로 불안과 우울증이 25% 증가하며 정신 건강 문제 악화 - 정신의학 교육의 중요성 부각되며, 생성형 AI가 의대생과 일차 진료 의사들을 지원할 수 있음 - 생성형 AI는 사례 비네트 생성, 시뮬레이션 기능, 콘텐츠 합성, 평가 도구 개발에 활용 가능하며, 정신의학 교육에 적합한 역할을 수행
[3] 지브리풍 그림 그리는 챗GPT… "판도라의 상자 열었다"
- -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로 인한 AI 창작물 논란 - '스튜디오 지브리' 화풍 모방 이미지들이 대대적으로 확산 - 창작자의 권리 침해 우려, AI 창작물로 인한 손해배상 소송 발생 가능성 등 논란 지속 중
[4] [황승진의 AI칼럼] LLM 연결성···기업IT를 삼킨 LLM
- - MCP가 LLM과 외부 데이터 연결을 도와줌 - LLM은 기업 시스템 통합하여 대시보드 생성 - LLM의 연결성으로 신기한 기능 제공, AI에 기반한 수요예측 발전 중.
[5] 챗봇 만들던 AI스타트업, '돈 되는 B2B 솔루션'으로 몰렸다
- - 미국 오픈AI의 챗GPT가 '생성형AI를 보여줄 수 있는 이미지를 만들어달라' 요청에 응해 이미지 생성 - 한국 AI 스타트업은 B2C에서 B2B로의 이동을 경향으로 보여, Ops&솔루션 영역에 집중 - 한국 AI 스타트업들은 생성형 AI 인프라와 모델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보이며, 하드웨어 독립성과 최적화 전략을 펼치고 있음.
[6] 모빌리티 AI 시대가 온다…네이버 AI 에이전트, 현대차와 첫 파트너십
- - 네이버와 현대자동차가 파트너십 체결, 모빌리티 AI 에이전트 개발 및 서비스 제공 계획 발표 - 네이버의 모빌리티 AI는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 음성검색, 브리핑, 장소 추천 등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 - 네이버는 모빌리티 분야뿐 아니라 커머스,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한 고도화된 서비스를 선보일 예정
[7] 웹소설·웹툰도 듣는다…'AI TTS' 진화 가속
- - 오디오북 시장은 연평균 8% 성장세를 보이며, e콘텐츠 업계에서 오디오 콘텐츠로의 확장이 진행 중. - 네이버웹툰, 리디, 밀리의서재 등은 AI 기술을 도입하여 오디오 콘텐츠 제공에 속도를 내고 있음. - 밀리의서재는 AI TTS를 통해 다양한 목소리 선택이 가능하며, 오디오북 시장은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8% 성장 전망.
[8] [생성 AI 길라잡이] AI 활용해 만든 게임, 어디까지?
- - 공정거래위원회, 생성 AI로 제작한 홍보용 웹툰을 매주 연재 중 -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 '카카 크리에이션', 생성 AI로 작화의 95% 맡은 애니메이션 방영 시작 - 게임 업계도 AI 활용 증가: 로블록스 '큐브 3D' 도구 공개, '컴투스' AI 조직 출범 및 '스팀'에서 AI 게임 출시 허용, Nintendo는 AI 활용에 경계심 표명
[9] 빌 게이츠 "AI, 10년 내 의사·교사 대체할 것"
- - 빌 게이츠는 AI가 10년 내 의료와 교육을 비롯한 대부분의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AI의 발전 속도와 한계에 대해 이야기. - 마이크로소프트 AI CEO는 AI로 인한 노동 시장 변화가 불안정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하며, AI가 노동을 대체할 것이라고 주장. - 게이츠는 AI의 급속한 발전에도 우려를 표명하면서도, AI 중심 기업 창업을 권장하고 AI의 혁신적 잠재력을 강조.
[10] 세븐나이츠 IP 기반 웹소설 '무한회귀 기사전’, 론칭 7일만에 100만뷰 돌파
- -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IP 기반 웹소설 '무한회귀 기사전'이 7일만에 100만뷰 돌파 - 작품은 세븐나이츠 세계관 속 주인공의 무한회귀 이야기를 다룸 - 웹소설은 출시 첫날부터 카카오페이지 판타지 랭킹에서 1위를 기록하며 선보이는 작품성이 인정받고 있음
[11] "꿀벌 수억마리 떼죽음" 초비상…미국 식량안보 흔들릴 판
- - 미국에서 최근 8개월간 62%의 꿀벌이 감소하며 수억마리가 죽는 일이 발생 - 꿀벌이 농작물의 75%를 수분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꿀벌 폐사는 농업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 - 꿀벌 폐사의 원인으로 기후 위기, 서식지 감소, 살충제 사용 등이 제기되었으나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음.
[12] AI 가짜 영화 예고편 쏟아지는데… 항의 안 하는 할리우드, 왜?
- - 유튜브에 등장한 '타이타닉2' 가짜 예고편은 AI를 활용한 인공적인 장면으로 50만 회 이상 조회, 기존 영화 속편을 염원하는 팬들의 희망을 담고 있음. - AI 기술로 가짜 예고편이 대량 생산되고 있는데, 할리우드 스튜디오들은 저작권 침해를 주장하는 대신 가짜 예고편 제작자들로부터 광고 수익을 요구. - 워너브라더스, 소니 픽처스, 파라마운트 글로벌 등이 가짜 예고편의 수익을 청구하며, 가짜 예고편 제작자들은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다. 그러나 이에 대해 창작자들과 미국 배우노조가 반발.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서울 매력일자리 사업 추진일정 안내 📢  (0) 2025.03.31
2025/03/31 (월) 부동산  (0) 2025.03.31
2025/03/31 (월) 정치  (1) 2025.03.31
2025/03/28 (금) 정치  (0) 2025.03.28
2025/03/28 (금) IT  (0)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