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3/12 (수) IT

토니치코 2025. 3. 11. 23:56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3/12 (수)
[1] 서울시, 공무원 챗GPT 이용료 지원 3배 늘린다
- -  서울시가 공무원 대상 챗GPT 등 생성형 AI이용료 지원 대상을 올해 570명으로 3배 확대 - 홍보물 기획·이미지 제작·데이터 처리 등에서 AI 활용 시 최대 2시간 걸리던 업무가 1분으로 단축, 만족도 100%에 근접 - 올해 신청자가 이미 612명에 달해, 서울시는 활용사례 425건을 담은 ‘신기술 이용료 활용 사례집’도 제작·배포 중
[2] [인터뷰] 표절 잡아내던 그 회사, GPT킬러 만들어낸 이유
- -  국내 대학 96%가 사용하는 ‘카피킬러’ 표절 검사 서비스를 만든 무하유가, AI가 쓴 문장을 찾아내는 ‘GPT킬러’까지 출시 - 챗GPT로 작성된 보고서·자소서 판별 수요가 늘면서 학교·기업 등이 도입, 영상 AI 면접 솔루션 ‘몬스터’까지 확장 중 - 구술 평가와 뉴스 팩트 체크 등으로 분야를 확장하면서, 생성형 AI가 야기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주력해 해외 시장까지 진출 계획
[3] 유상임 장관 “AI 기본법 최소한의 규제만 포함”
- - 과기정통부, 내년 1월 시행 예정 AI 기본법에 최소한의 규제 포함 예정 - AI 기본법 규제 권한 과다 논란에 대해 유상임 장관 "규제 대상·수준 신중하게 처리" -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위해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 추진 중, 25일 콘퍼런스 개최 및 '월드 베스트 LLM 프로젝트' 상세 기획안 공개 예정
[4] 국가AI위원회에 힘실린다…대통령 권한대행, 범정부 사전협의 강조
- - 국가AI위원회가 강화되며,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이 부처 간 AI 정책 협의 강조 - 부처들이 경쟁적으로 AI 정책 발표로 혼선 우려, 국가AI위원회가 협의 원칙 세워 조율 - 국가AI위원회가 하위법령 초안과 AI 정책에 대해 부처 및 업계 의견 수렴, 시그니처 정책 마련으로 국가 AI 전략 수립 추진
[5] AI 스타트업 1분기 투자 43조…2023년 한해 넘어서 [긱스]
- - 글로벌 VC의 AI 스타트업 투자금은 올해 1분기에 300억달러로 추산되며, 작년 대비 투자금이 감소했지만 챗GPT 등의 성장세로 2023년 예상 투자금을 넘어섬 - 글로벌 VC는 지난 2년간 위축된 투자심리를 회복하며 2021년 4분기 이후 3년 만에 최대치인 약 800억달러를 스타트업에 투자 - 국내 VC의 AI 스타트업 투자는 1~2월에 881억원으로 63.7% 감소하고, 투자 비중도 10%로 급감하여 국내 시장은 냉기가 돌고 있다고 분석됨.
[6] [Aㅏ핫 AI] ‘딥시크’가 바꾼 AI 생태계
- -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MIT 라이선스로 자사 AI 모델을 공개하며 오픈소스 전략을 펼치고 있음 - 오픈소스 접근으로 독립 연구자, 중소기업, 개인 개발자들이 최신 AI 기술에 접근 가능해짐 - 기존 선두 기업들도 딥시크의 오픈소스 전략에 영향받아 폐쇄적인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으며, 교육적 시사점도 큼
[7] 불붙은 'AI 산업' 경쟁…대구경북, 센터 유치 사활
- - 대구시는 '국산 AI 반도체 기반 마이크로 데이터센터' 도입 추진 중 - 구미는 AI와 고효율 발전소 결합한 AI데이터센터를 국가5산단에 건설 예정 - 포항은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를 위해 석·박사급 AI 인재 인프라와 방사광가속기 연구 인프라 등을 활용하여 사활을 걸고 있음.
[8] 올림플래닛, 예비심사 청구서 제출...코스닥 상장 준비
- - 올림플래닛,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서 제출 - 확장현실(XR) 콘텐츠 경량화 기술 개발 및 상용화 - 회사는 누적 투자유치 262억원, 누적 매출 600억원 기록, 연평균 성장률 47% 달성하여 아시아태평양 고성장 기업으로 선정.
[9] '1240조 시장 선점'…네이버, 3D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오픈
- - 네이버가 3차원 콘텐츠 제작 스튜디오 '모션스테이지'를 운영하기 시작 - 가상 캐릭터 이용하는 버추얼 스트리머를 유치해 '치지직' 성장 돕기 위한 전략 - 치지직에서 활동하는 스트리머는 더 독창적이고 완성도 높은 3D 콘텐츠 제작가능.
[10] 뛰는 TSMC, 뒷걸음치는 삼성...파운드리 격차 더 벌어져
- - 지난해 4분기, TSMC의 매출은 268억5천만 달러로 14.1% 증가하며 시장 점유율은 67.1%로 1위를 유지. - 반면 삼성전자의 매출은 32억6천만 달러로 1.4% 감소하고 시장 점유율은 8.1%로 줄. - 전체 파운드리 시장은 384억8천만 달러로 9.9% 성장하며, 새로운 고객과 주문 손실의 영향으로 삼성전자의 매출이 감소.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3/13 (목) 부동산  (1) 2025.03.13
2025/03/12 (수) 정치  (0) 2025.03.11
2025/03/12 (수) 부동산  (0) 2025.03.11
2025/03/11 (화) 정치  (0) 2025.03.11
2025/03/11 (화) IT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