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2/26 (수) IT

토니치코 2025. 2. 26. 02:01
News Pick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2/26 (수)
[1] 오픈AI 이어 앤스로픽도 방한...3월 개발자 행사 개최
- - 앤스로픽, 한국에서 '코리아 AI 빌더스 서밋' 개최 예정 - 앤스로픽의 최신 AI 모델 클로드 3.7 소넷 공개, 추론과 신속 응답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성능 우수 - 앤스로픽 CPO, 3월 18일 AWS '유니콘 데이 2025' 행사에서 키노트 강연 예정, 한국 스타트업과 만날 계획, 참여 독려
[2] 퍼플렉시티, 검색 이어 브라우저도 넘본다
- - 미국 스타트업 퍼플렉시티가 AI 웹 브라우저 '코멧' 출시 예고 - 퍼플렉시티, 구글 크롬 독점에 도전하여 브라우저 시장에서 경쟁 시작 - 퍼플렉시티, AI 개발자 채용 및 AI 검색 서비스 제공으로 시장 선점에 나섬
[3] 딥시크에 놀란 정부, 1조 들여 독자 AI 모델 개발 나선다
- - 정부는 중국의 '딥시크' 돌풍을 계기로 국내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위해 GPU 1.8만장 확보 계획을 발표. - 2032년까지 1조원 규모의 AGI R&D를 통해 독자적 AI 모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이며, 재판매 및 DB 금지 정책도 시행할 예정. - AI 분야의 핵심 자원인 GPU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국가 AI컴퓨팅 센터를 조기 가동하여 국산 AI 반도체 비중 50%를 달성할 계획.
[4] [Today’s PICK] 배달로봇, 거리 누빈다…배민도 강남서 서비스
- - 배민은 강남구 역삼·논현동 일부 지역에서 B마트 로봇 배달 서비스를 시작, 주문 시 로봇 배달을 선택하면 평일 오후 2시부터 9시까지 이용 가능. - 요기요는 뉴빌리티와 협력하여 강남구 역삼1동 인근에서 음식 로봇 배달 서비스를 시작, 배달 가능 지역은 1.2㎞ 반경 내 장소. - 배달 플랫폼들은 로봇 배달 서비스를 개발하여 배달 기사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선두주자 배민은 2017년부터 서비스 개발에 나서 경험을 축적. 요기요는 2020년부터 로봇 배달 서비스를 시작했으나, 강남과 같이 유동인구가 많고 변수가 많은 지역은 새로운 도전이 될 것으로 전망.
[5] 가상세계서 로봇 설계부터 데이터 학습, 훈련까지 자동화
- - '3D 익스피리언스 월드'에서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창업자가 휴머노이드 로봇 '스폿' 소개 - '피지컬 AI' 기술 발전으로 로봇이 현실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스스로 계획하며 움직임 - 엔비디아 등 빅테크가 가상현실로 피지컬 AI 구현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에 나서
[6] AI는 세상에 없던 기술, 결국 창의력 싸움
- - 한국인 최초의 스탠퍼드대 종신교수 황승진, 기업들에게 AI 도입을 촉구 - 생성형 AI 도입 방법 강조: 비즈니스 부서 팀 단위에서 먼저 시도해보라 - 중국 AI '딥시크'를 통해 부족함이 발명을 이끌어낸 사례를 예시하며, 정부의 직접적인 AI 지원에 대해 부정적 견해를 제시
[7] 국회 AI 공청회서 '韓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제언
- - 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확보가 필요하며, 이 모델을 통해 국가 AI 경쟁력을 극대화 가능. - 우리나라는 미국·중국과 1년 이상의 AI 기술 격차가 있으며, 국내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통해 국가 전략 자산 확보필요 . - AI 관련 딥러닝 시대를 넘어 '에이전틱 AI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역량을 강화하고, 국내 기업과 정부가 협력하여 '월드 베스트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추진필요 .
[8] 입사 지원자 절반이 AI로 자기소개서 작성
- - 신생업체 무하유가 개발한 'GPT킬러'를 통해 89만 건의 자기소개서 분석 결과, 절반 이상이 AI를 활용한 것으로 의심 - 금융권이 가장 높은 비율로 AI를 활용한 자기소개서를 제출했으며, 하반기 채용에서 AI 사용량이 3배 이상 증가 - 고용노동부 조사 결과, 매출 기준 500대 기업 중 65.4%가 AI로 작성된 자기소개서를 발견 시 불합격 처리하거나 감점하는 것으로 나타남.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2/27 (목) IT  (1) 2025.02.27
2025/02/27 (목) 부동산  (0) 2025.02.27
2025/02/26 (수) 부동산  (0) 2025.02.26
2025/02/26 (수) 정치  (0) 2025.02.26
국민의힘 탄핵 이슈 관련 공식 입장 변화 (2024년 12월 ~ 현재)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