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4/09 (수) IT

토니치코 2025. 4. 9. 05:25
News Pick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4/09 (수) IT
[1] '입만 살았던' AI에 손 달아준다 … 실리콘밸리 뒤흔드는 MCP
- - 앤스로픽이 MCP를 통해 AI 에이전트와 외부 도구를 연결하는 표준 체계 도입 - MCP는 챗GPT와 같은 대규모 언어모델과 앱을 연결하고 AI 활용 범위를 확장 - 오픈AI를 필두로 MS와 AWS도 MCP 도입 결정, AI 에이전트 생태계 구축 예상
[2] AI가 바꾼 검색 풍경… 이젠 키워드 말고 사진 `찰칵`
- - 구글이 AI 모드에 멀티모달 검색 기능 추가 - 이미지 속 물체 분석 후 관련 정보 제공 및 추가 질문 가능 - 오픈AI와 퍼플렉시티도 이미지 기반 대화 기능 개발, 국내 기업들도 AI 이미지 기반 검색 확대 중
[3] AI의 미터법 될까"…앤트로픽 MCP, 생태계 '공용어' 부상
- - 인공지능 모델이 발전해 지식 탐색과 코드 자동화가 가능한 수준으로 진화 - 앤트로픽이 개발한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은 AI 모델과 시스템을 연결하여 실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규격 - MCP를 통해 구글 드라이브, 슬랙, 깃허브 등 다양한 툴과 실시간 연동 가능,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기업의 AI 도입 속도가 가파르게 증가
[4] 새로운 AI 경쟁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 - AI 생태계에서 주목받는 MCP(Model Context Protocol)은 AI 모델과 다양한 외부 데이터, 서비스를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로, AI 서비스 개발을 쉽게하고 비용을 절감. - 중국의 딥시크(DeepSeek)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인 새로운 AI 아키텍처를 제시하며, 거대 AI 모델에 대한 경쟁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 - MCP를 통해 다양한 AI모델과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를 쉽게 연결할 수 있어, 기존의 AI 시장 구조가 변화하고,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5] 토스랩의 '잔디 몰입' 전략…챗GPT 없어도 AI로 리포트 쓰고 번역한다[테크체인저]
- - 토스랩의 협업툴 '잔디'의 일일 메시지 발송량이 1만7000건에서 6억7000건으로 증가 - '스프링클러'는 잔디에 추가된 AI 기능으로 대화 요약, 파일 분석, 번역 기능 제공 - '스프링클러'는 이미지 검색 가능하며, 리포트 초안 작성, 자연어로 반복업무 처리 기능을 추가할 계획
[6] 뉴스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 생성형 AI로 전면 개편
- -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함께 빅카인즈를 AI 기반 뉴스 서비스로 개편 - 1억 건 이상의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해 뉴스 원문 검색과 분석 자료 제공 - 사용자 편의성 강화 및 '꼬리 질문' 기능 추가, 매일 약 1만 건의 기사 요약 제공, 문서 파일 분석 및 대화 형식으로 결과 제공 가능
[7] 스탠퍼드대가 주목한 AI 모델, 한국선 'LG 엑사원' 뿐
- - 스탠퍼드대가 LG AI 연구원의 대규모언어모델(LLM) 엑사원 3.5를 '주목할 만한 AI 모델'로 선정 - 미국이 40개, 중국이 15개의 AI 모델을 선정하여 미국과 중국 간 AI 성능 격차가 크게 줄어들. - 미국과 중국 기업 중 구글과 오픈AI가 각각 7개의 AI 모델을 선정하여 모델 수에서 미국이 압도하지만, 최고 성능 모델 간 격차는 크게 축소되.
[8] "AI 규제, 진흥 중심 설계로 바뀌어야…시행령이 관건"
- -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AI 기본법에 대한 산학계의 의견: 산업별 맞춤 규제 필요 - 한국데이터법정책학회 회장의 주장: AI 기본법은 산업과 기술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수평적 접근 필요 - 산업계의 주장과 정부의 대응: 예측 가능성을 강조하며, 최소한의 규제만을 반영하는 시행령 설계가 중요
[9] 업무 넘어 감정교류도 척척 뤼튼, 생활형 AI 선보인다
- -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뤼튼 3.0'을 통해 '1인 1 AI 시대'를 선포 - 목표는 올해 안에 월간활성이용자수(MAU) 1000만명 돌파 및 AI 서포터를 통해 5000만 국민에게 AI 제공 - AI 서포터는 감정적 교류 가능한 EQ 레이어, 성능 업그레이드를 통한 무료 이득 제공, 캐시 보상 시스템 도입하여 생활형 AI로 발전 예정.
[10] 옷장 비췄더니 AI가 "이 옷 입으세요"
- - 갤럭시 S25 시리즈에는 카메라로 주변 환경과 물건을 보여주면 AI가 실시간으로 상황을 인식하고 사용자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비주얼 AI' 기능이 추가되. - 이 기능은 구글의 '제미나이 라이브'를 활용하며, 사용자는 카메라로 옷장을 비추거나 식물을 촬영하여 AI에게 상황을 질문하고 추천을 받을 수 있음. - 다른 회사들도 비슷한 기능을 개발 중이며, 국내에서는 무료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기 어려운 비용 문제로 아직 활발히 적용되지 않고 있음.
[11] 정부, 악성문자 사전차단 서비스 9일부터 시범 운영
- - 과기정통부와 KISA가 '엑스레이' 서비스로 악성문자 사전차단 서비스를 개발 - 스미싱 문자 발송단계에서 탐지하고 발송을 차단하는 기술 도입 - 문자판매사 에스엠티엔티가 먼저 도입, 과기정통부는 '엑스레이' 서비스를 확산하여 디지털 민생 안전 강화할 계획
반응형

'일상 >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04/10 (목) IT  (1) 2025.04.10
2025/04/09 (수) 부동산  (0) 2025.04.09
2025/04/09 (수) 정치  (0) 2025.04.09
2025/04/07 (월) 정치  (2) 2025.04.06
2025/04/07 (월) 부동산  (2)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