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03/07 (금) IT

토니치코 2025. 3. 6. 23:42
News Pick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3/07 (금)
[1] '생성형 AI 도입과 활용 방법' 주제 산업발전포럼 개최
- - '제69회 산업발전포럼'에서 AI 기술 도입과 활용 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 진행 -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AI 산업 활용에 대한 전략마련과 정책적 지원 강조 - 전문가들은 AI 에이전트 기술의 발전으로 기업들이 자동화와 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으며, AI의 효과적 활용이 기업의 경쟁력과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
[2] 라이너, 추론형 검색 AI '딥 리서치' 출시…GPT-4.5 제쳤다
- - 글로벌 AI 검색 스타트업 라이너, 라이너 딥 리서치 AI 에이전트 출시 - 라이너 딥 리서치는 1~2분 내에 심층적 답변 제공, 평균 3~10분 소요되는 기종보다 빠른 성능 - 로그인이나 구독 필요 없이 하루 10회까지 무료 사용 가능, 정확도는 95.3점으로 높게 평가됨.
[3] 오픈AI 'GPT-4.5' 플러스 티어 출시…올트먼 "이 모델 사랑해"
- - 오픈AI가 GPT-4.5를 '플러스' 이용자 대상으로 출시, 리서치 프리뷰 서비스와 프로 이용자 대상 출시 후 일주일 만에 이용자층 확대 중. - GPT-4.5는 GPT-4의 후속 모델로, GPT-5 출시 전에 오픈AI의 마지막 비추론 모델로 예상. - 올트먼 CEO는 GPT-4.5 출시와 관련해 CPU 자원 부족 문제를 언급하며, GPT-5는 5월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밝혀.
[4] 더 똑똑해진 구글 검색 … 챗GPT 겨눈다
- - 구글이 AI 검색 강화로 AI 개요에 제미나이 2.0 적용하고 AI 모드 도입 - AI 개요는 10억 이상 사용자, 로그인 필요 없이 어려운 질문에 대한 높은 품질 답변 제공 - AI 모드는 멀티모달 능력으로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이해하며 깊이 있는 정보 제공, 유료 구독자에게 먼저 서비스 될 예정
[5] [MWC25] '이제는 AI 시대'
- -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이 바르셀로나에서 개최, 관람객들이 인텔 부스에서 AI 기술을 체험 중. - MWC는 GSMA가 주최하는 세계적인 이동통신사업자 행사로, CES, IFA와 함께 세계 3대 전자·IT 전시회로 손꼽힘. - 올해 MWC에 참가하는 한국 기업은 187곳으로, 전년 대비 22곳 증가한 수치를 기록.
[6] 데이터 분석해 논문까지 연봉 3억 AI비서 나온다
- - 오픈AI가 박사급 AI 에이전트에 대한 월 사용료로 2만달러를 검토 중 - 현재 가장 높은 구독료를 가진 '챗GPT 프로'의 100배에 해당하는 초고가 서비스 - AI 에이전트는 연구, 실험 계획, 논문 작성, 학술지 제출 등 모든 일을 수행 가능하며, 월 2만달러는 국내 고참급 개발자 연봉 수준에 해당함
[7] "미국의 AI 맨해튼 프로젝트 반대"
- - 구글 전 CEO 에릭 슈밋은 인공지능 경쟁으로 안보 위기가 커질 것을 우려 - 슈밋은 '초지능 전략' 보고서에서 맨해튼 프로젝트 방식의 AI 개발은 위험하다고 경고 - 상호확증AI무력화 개념을 제안하여 초지능 무기화를 방지해야 한다고 강조
[8] "글래스 너머에 펼쳐진 새로운 세상"…스마트안경 각축전[MWC25]
- - MWC25에서는 AR 웨어러블 기기가 주목받음, 삼성전자의 '프로젝트 무한'은 XR 기기로 외부환경을 VR로 바꿔주는 기능 제공 및 퀄컴이 AP 담당 - 메타와 레이밴이 협업한 스마트안경은 사진, 영상 촬영뿐 아니라 음악 감상, AI 번역 제공하나 비싼 가격과 배터리 수명이 단점 - 중국 TCL의 레이네오 X3 Pro는 가벼운 무게와 AI 번역, 풀 컬러 디스플레이 등을 제공하며 연내 출시 검토 중, 녹내장 관리 시스템도 소개.
[9] '기업용 AI 비서' 세일즈포스·MS 정면충돌
- - 세일즈포스가 업무용 AI 비서 '에이전트포스 2dx'를 공개하여 AI의 능동성을 대폭 강화. - 마이크로소프트(MS)도 동일 날에 영업용 AI 비서 출시로 세일즈포스와 경쟁을 논의하며 AI 비서 시장에서의 혈투 예고. - 글로벌 CRM 시장에서 세일즈포스와 MS의 점유율은 각각 21.7%, 5.9%로, 두 회사가 B2B AI 플랫폼을 강화해 AI 비서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