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220(보도자료)_주간아파트가격동향(20250217기준).pdf
1.33MB
1. 개요
가. 배경
- 한국부동산원이 2025년 2월 3주(2.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 결과 발표
- 매매가격은 전국 평균 -0.03%로 하락세 유지(전주 -0.04% 대비 하락폭 축소), 전세가격은 0.00%(보합) 전환
2. 주요 동향
가. 매매가격 동향
1) 전국 및 권역별 요약
구분 | 전주 (2.10) | 금주 (2.17) | 변동 추세 |
---|---|---|---|
전국 | -0.04% | -0.03% | 하락폭 축소 |
수도권 | -0.03% | -0.01% | 하락폭 축소 |
서울 | +0.02% | +0.06% | 상승폭 확대 |
인천 | -0.08% | -0.06% | 하락세 지속 (폭 축소) |
경기 | -0.05% | -0.04% | 하락세 지속 (폭 축소) |
지방 | -0.05% | -0.04% | 하락폭 축소 |
5대광역시 | -0.06% | -0.06% | 동일 하락폭 유지 |
세종 | -0.12% | -0.12% | 하락폭 유지 |
8개도 | -0.04% | -0.03% | 하락폭 축소 |
2) 지역별 특징 요약
- 서울(0.06% 상승)
- 강남·서초·송파 등 재건축 및 선호단지 위주 상승폭 확대
- 강북권은 혼조세(광진, 마포 등 일부 상승 vs. 동대문, 도봉 등 하락)
- 인천(-0.06% 하락)
- 청라·가정·송도 등 입주물량 영향 지역 위주 하락세 지속
- 경기(-0.04% 하락)
- 과천(재건축)·부천 일부 구축 단지는 소폭 상승
- 평택, 광명 등 입주물량 많은 지역 하락
- 지방(-0.04% 하락)
- 대구(-0.09%)·부산(-0.06%): 대단지 및 준신축·구축 위주로 하락
- 세종(-0.12%): 매물 적체 영향 지속, 새롬·보람·다정동 위주 하락
나. 전세가격 동향
1) 전국 및 권역별 요약
구분 | 전주 (2.10) | 금주 (2.17) | 변동 추세 |
---|---|---|---|
전국 | -0.01% | 0.00% | 하락 → 보합 전환 |
수도권 | 0.00% | +0.01% | 보합 → 소폭 상승 전환 |
서울 | +0.02% | +0.02% | 상승폭 유지 |
인천 | -0.07% | -0.04% | 하락 지속 (폭 축소) |
경기 | 0.00% | +0.01% | 보합 → 소폭 상승 |
지방 | -0.01% | -0.01% | 하락폭 유지 |
5대광역시 | -0.01% | 0.00% | 하락 → 보합 전환 |
세종 | -0.02% | -0.03% | 하락폭 소폭 확대 |
8개도 | -0.01% | -0.02% | 하락폭 소폭 확대 |
2) 지역별 특징 요약
- 서울(0.02% 상승)
- 학군지·역세권 등 선호단지 전세수요 유지, 소폭 상승
- 외곽·구축 위주는 약보합 or 하락
- 인천(-0.04% 하락)
- 공급물량 영향으로 청라·운남·박촌·서창 등 하락세
- 부평(역세권)은 소폭 상승
- 경기(+0.01% 상승)
- 분당(0.14%), 중원구(0.11%) 등 일부 지역 상승
- 광명(-0.45%), 평택(-0.13%) 등은 여전히 하락
- 지방(-0.01%)
- 대구(-0.08%) 하락 지속 vs. 울산(+0.05%), 부산(+0.03%) 상승
- 세종(-0.03%)은 다정·도담동 매물 누적 영향
3. 종합 분석
- 매매시장: 전반적으로 하락 추세는 이어지나, 서울 등 주요 선호지역에서 상승 거래 발생
- 전세시장: 수도권은 보합에서 소폭 상승으로 돌아섰지만, 지방은 지역별 편차 크고 하락세 지속
- 주요 변수: 금리 수준, 입주물량, 학군·역세권 선호도 등에 따라 지역 간 온도차 발생 예상
4. 전망
- 단기간 내 급등·급락보다는 점진적 혼조세가 이어질 가능성
- 수요 집중 지역(재건축, 역세권, 학군지 등) 위주로 매매·전세 상승 거래 확대
- 입주물량 많은 지역은 공급 부담이 이어지며 약세 지속 전망
5. 참고 및 출처
- 출처: 한국부동산원 「2025년 2월 3주(2.17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 보도자료 (2025.2.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