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2/17 (월) IT일반
토니치코
2025. 2. 16. 18:18
News Pick
By KREMA
2025/02/17 (월)
2025/02/17 (월)
[1] 일론 머스크, AI 챗봇 '그록3' 공개 예고…"지구에서 가장 똑똑"
- - 일론 머스크가 자신의 인공지능 기업 xAI의 최신 챗봇 모델 '그록 3'를 17일 라이브 시연할 예정 - 머스크는 "그록 3 배포가 라이브 시연과 함께 진행된다"며 출시 일정 예고 - 팀과 함께 제품을 다듬기 위해 주말 내내 오프라인으로 활동 예정.
[2] 과기정통부, ‘2025년 AI 기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 설명회' 개최
- - 과기정통부와 KCA는 '2025년 AI·디지털 기반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사업을 통해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방송콘텐츠 제작을 촉진 - 올해는 11편의 작품이 최대 15억원의 지원금으로 제작되며, 해외진출형 방송콘텐츠 분야에서는 AI 기술을 확대 적용하여 경쟁력 강화 - 공익형 방송콘텐츠 부문에서는 AI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공익 프로그램 지원 및 편당 제작비 규모를 최대 3억원으로 늘려 질적 수준 향상을 추구.
[3] 경기도, '인공지능 5개년 종합계획' 수립 착수
- - 경기도가 '경기도 AI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컨설팅을 시작하고, 2026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행정, 기업 혁신, 도민 삶의 질 향상에 AI를 활용할 계획 - AI 종합계획은 AI 전략, 법·제도 사안, AI 활용 방향성, 행정 효율, AI 산업 육성 등을 포함하며, 행정·안전·복지·관광·의료 분야에서 AI와 데이터를 활용할 것 - AI 클러스터 지정, 유망 벤처·스타트업 지원, AI 정책 자문기구 '인공지능위원회' 구성 등 AI 산업 생태계 조성과 AI 기술 활용을 촉진할 계획
[4] 설립 3년 이내 초기창업기업 430곳 선발 평균 7천만원 지원
- - 중기부가 예비창업패키지와 초기창업패키지 사업에 참여할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을 모집 중 - 예비창업패키지는 780명의 예비창업자 선발, 초기창업패키지는 430여 개사 선발 예정 - 창업프로그램 지원 및 사업화 자금 지원, 접수는 다음달 11일까지 가능하며, 선정 후 4월부터 지원 예정
[5] 서울디지털재단, AI 행정·대민서비스·인재 적극 발굴
- - 서울디지털재단은 올해 AI 행정 연구개발 및 AI 서비스 개발 인력 양성에 중점을 둔다. - AI를 활용한 공공서비스 개선과 사회적 약자 지원을 목표로, 안정적인 AI 활용을 위한 연구도 추진. -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서울시 AI 예산이 확보되면, 서울디지털재단의 AI 관련 사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6] 보고 듣고 답하는 AI비서 ‘아스트라’, 갤럭시 S25에 실린다
- - 구글이 개발 중인 인공지능(AI) 비서 '아스트라'는 실시간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질문에 대답하는 기능 탑재. - '아스트라'는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25에 적용될 예정이며, 구글은 다양한 제품에도 적용할 계획. - 현재 '아스트라'는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테스트 중이며, 삼성 갤럭시폰에서의 탑재 시기는 불확실하나 올해 내에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전망
[7] "휴머노이드 시장, 10년내 8경6622조원까지 성장"
- - 모건스탠리,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 발표 -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10년 내 최대 60조 달러 성장 전망 - 기업은 브레인(기술), 보디(하드웨어), 인터그레이터(통합) 부문으로 분류,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 LG, 네이버, 현대차가 선정됨
[8] 안내부터 청소·룸서비스까지…'로봇 호텔리어'가 온다
- - 국내 호텔업계, 구인난 해소를 위해 로봇 도입 가속화 - 카카오모빌리티 '브링', 로보티즈 자율주행 로봇 등 3종 하드웨어 선보여 - 중국 키논로보틱스 '클린봇 C30'과 '버틀러봇 W3' 등 다양한 서비스 로봇 패키지 전시, 케이퓨처테크 '로디'와 '마스'도 호텔 업계 공급 예정
[9] 통신 3사 “올해 AI로 돈번다”
- - SK텔레콤은 '에스터'를 통해 AI 사업을 확대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AI 인프라 사업을 강화하며 수익 개선에 나서 - KT는 MS와의 파트너십으로 AI와 ICT를 결합한 'AICT 기업'으로 구조전환하고, AI·클라우드 분야에서 수익 창출을 추진. - LG유플러스는 AI 신사업 육성을 중심으로 고수익 사업을 강화하고, B2B 사업에 AI 모델을 적용하여 기업 인프라 부문의 성장을 가속화.
[10] AI로 오염된 인터넷…"트래픽 절반은 가짜"
- - 제주도 여행 준비 중인 A씨, AI가 생성한 가짜 정보로 인해 가짜 숙소 정보로 속아 결제 시도 실패 - 포털과 SNS에서 AI로 생성된 가짜 콘텐츠 급증, 블로거들은 진위 확인에 시간 낭비하며 콘텐츠 품질 하락 인식 - AI를 이용해 블로그나 SNS에 올리는 사람들 증가, AI 콘텐츠 작성 보조 서비스도 출시되며 화장품 광고 글도 AI로 작성된 것이 많아짐.
[11] 주52시간제 시행 5년…기업 76% “연구개발 성과 줄어”
- - 주52시간 제도 도입한 기업 연구부서 4곳 중 3곳이 연구개발 성과 감소 - 연구인력난 겪는 중소기업을 위해 유연한 근로시간 제도 필요성 제기 - 주52시간제 시행 5년간, 신제품 개발(45.2%)이 가장 많이 저하된 분야, 근로시간 규제 여전히 개선 필요성 제기, 기업들은 자율적 근로시간 관리를 선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