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02/12 (수) IT일반
토니치코
2025. 2. 12. 06:30
News Pick
By KREMA
2025/02/12 (수)
2025/02/12 (수)
[1] 방통위, 올 상반기 '생성형AI 이용자보호 가이드라인' 발표
- - 방송통신위원회는 올 상반기 '생성형AI 이용자보호 가이드라인'을 발표 예정 - AI 이용자 보호법 제정 추진 중으로, 이용자 피해 발생 시 구제 방안을 포함한 법안 마련 예정 - 과기정통부는 AI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하위법령 제정에 속도를 내며, 6월에 시행령 입법예고 예정
[2] ‘전문 답변과 리포트까지 척척’ 솔트룩스-이지메타, AI 에이전트 ‘구버’ 고도화 시동
- - 솔트룩스와 이지메타가 협력해 구버 AI 에이전트 서비스를 고도화. - 구버는 질문에 정확한 답변과 출처 제시뿐 아니라 AI리포트 생성 기능을 제공하며 현재까지 약 20만 건의 리포트 생성. - 이지메타의 1TB 규모 학술·특허정보 데이터를 활용해 구버의 답변을 최적화하고, 더 효율적인 연구 업무를 지원할 예정.
[3] [Aㅏ핫 AI] ‘모르는 것은 찾아보는 AI’…검색증강생성 ‘RAG’
- - AI 기술인 RAG는 최신 정보를 검색하여 답변을 생성하는 기술 - RAG의 장점은 최신 정보 반영, 정확성과 신뢰성, 특정 분야 지식 활용 - 멀티모달 RAG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을 결합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 가능, AI 비서 개발 가능성 높아짐
[4] 고용한파에 AI까지… 취준생·신입 "우린 어디로"
- - 1월 신규 구직자 수가 1년 전보다 42.7% 감소 - 청년 취업자 수가 26개월 연속 감소하며 고용률 하락세 지속 - 기업 경영진의 56%가 2028년까지 신입 채용 절반 이상이 AI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 AI의 발전으로 신입 채용 시장 위축되는 상황.
[5] 정부 AI 플랫폼 구축에 대기업도 참여한다
- - 정부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공통 기반 구현 사업에 대기업의 참여를 허용하고, 2027년까지 100억원을 투입하여 공공 업무에 활용할 플랫폼을 구축. - '2025년 지능형 업무관리 플랫폼 구축사업'에서도 대기업 참여에 제한을 두지 않고, 예외적으로 대기업이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 - 대기업의 참여를 허용하는 심의위원회가 열려 8건에 대해 대기업 참여 제한을 풀었는데, 국방 5세대(G) 인프라구축과 연합지휘통제체계 성능개량 등이 포함
[6] "범용 인공지능보다는 산업별 특화된 ASI가 한국에 적합"
- - 한국은 산업별 데이터 활용으로 AI 경쟁력 키워야 함 - LG AI연구원은 AI 원천기술 확보하며 의사결정에 활용 중 - LG는 LAM 기반 AI 에이전트 개발로 업무 생산성 향상 추구
[7] EU, AI에 300조 투입…“美·中이 앞선다 동의 안 해”
- - 유럽연합, 2000억 유로 규모의 '인베스트AI 이니셔티브' 발표 - 500억 유로는 EU 기금, 나머지 1500억 유로는 민간 투자로 구성 - AI 기가 팩토리 4곳 구축 예정, AI법은 2026년 8월부터 전면 시행, 위반 시 최대 7% 과징금 가능
[8] 오픈AI, 자체 칩 개발…엔비디아 족쇄 푼다
- - 오픈AI가 자체 인공지능(AI) 칩의 설계를 수개월 내 완료하고 내년 중 대량생산 계획 - 엔비디아 의존도 낮추기 위한 전략으로 최대 10억달러 투자 예정 - 자체 칩 개발로 엔비디아와의 가격 협상 우위 확보 및 AI 모델 학습·추론 비용 절감을 목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