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년 2월11일(화) IT일반

토니치코 2025. 2. 10. 20:04
News Pick 🗨️ Kakao Chat

News Pick

By KREMA
2025/02/11 (화)
[1] AI기본법, 시행령·가이드 투 트랙 정비…3월 초안공유·6월 입법예고
- - 인공지능(AI) 기본법 하위법령 정비작업이 '법조계 중심의 시행령'과 '민간 중심의 가이드라인'으로 추진 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월에 시행령 초안을 기업·학계 등 민간과 공유하고 6월 중 입법 예고를 목표로 함 - 하위법령 작업은 3개의 워킹그룹으로 나뉘어, 시행령은 AI 적용범위, 안전성 확보 의무, 기술 개발 등을 다룸.
[2] AI사업단, 빅데이터·AI 창업사업화 자금 지원…3년간 최대 6억
- -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이 '2025년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를 통해 빅데이터·AI 분야 참여기업을 선발하고 지원. - 18개 기업이 최대 3년간 6억 원의 창업 사업화 자금을 받으며, AI 가속기를 활용한 초거대 AI 모델 개발과 데이터 분석을 지원받을 수 있다. -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기술 고도화, 대·중견기업과의 협업, 시장 확대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해외 진출을 촉진.
[3] 과기정통부, 혁신도전형 R&D 사업군 발표…10%는 AI 사업
- - 정부가 혁신도전형 R&D 사업군 중 AI 관련 사업을 3개로 구성하고, 이들의 예산은 총 1조원 중 10% 이상을 차지. - '인간지향적 차세대 도전형 AI 기술개발 사업'은 2029년까지 5년간 진행되며, AGI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혁신성과 도전성을 추구. - 'PIM 인공지능 반도체 핵심 기술개발 사업'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 진행되며, 글로벌 시장과 기술 주도권 확보를 목표
[4] '경기 AI 혁신행정 추진단' 출범…생성형 AI 통합플랫폼 구축
- - 경기도, 경기 AI 혁신행정 추진단 출범 - 경기 생성형 AI 통합플랫폼 사업 실행방안 논의 - 목표: 맞춤형 행정서비스 제공, 행정 효율 높이기, 유지 비용 30% 절감, 연 60억원 편익 예상
[5] 삼성SDS,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1단계` 수주
- - 삼성SDS가 국회 빅데이터 플랫폼(AI국회) 구축 1단계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 3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 예산은 약 117억원 - 주요내용은 의정자료 데이터 구축, 데이터 거버넌스 구축, 지능형 의정지원서비스 구축, IT인프라 구축 등.
[6] 딥시크 쇼크에 글로벌 AI강국, 파리서 주도권 놓고 격전
- - AI 정상회의에서 미국·중국·일본 등 주요국 정상과 빅테크 수장들이 모여 AI의 효과적 사용과 규제 방안을 논의 - 프랑스는 164조원 투자 계획 발표해 AI 분야 도약 의지 선언, 한국도 빅테크와 협력 강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모색 - AI안전연구소와 오픈AI가 최우선으로 AI 정책 공조를 위한 미팅 개최, 국내 기업의 안전 리스크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 모색 중
[7] 노벨상 수상 허사비스 "AGI 5년내 등장 가능성…딥시크 과장돼"
- - 노벨 화학상 수상자 데미스 허사비스가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AI 모델을 "과학적 진보는 없었지만 중국 최고의 작품"이라고 평가 - 허사비스는 딥시크의 엔지니어링 역량을 인정하면서도, AI 모델이 혁신적이지 않다고 지적 - 허사비스는 인간 수준 이상의 범용 인공지능(AGI)이 5년 내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며, 사회가 AGI에 대비해야 고 강조
[8] 이해진 복귀와 'IT 전문가' 부족한 네이버 이사회
- - 네이버 이사회가 IT 전문성 강화를 위해 새롭게 구성될 예정 - GIO가 7년 만에 이사회 의장으로 복귀하며 네이버 사업 지휘할 계획 - 현재 이사회 구성원 중 IT 전문가는 변대규 기타비상무이사 뿐, 이 GIO의 복귀로 새로운 IT 전문가 발탁 가능성 높아짐.
[9] '생성형 AI 콘텐츠와 모델링 결합'…다쏘시스템, 3D 유니버스 공개
- - 다쏘시스템, IPLM에 생성형 AI 기술을 탑재한 '3D 유니버스' 공개 - 고객은 3D 유니버스로 현실세계와 가상세계 융합 가능 - 다쏘시스템 회장은 3D 유니버스를 통해 지식과 노하우 제공, CEO는 AI시대 지속가능성 높일 것이라 전망
[10] '관세전쟁' 후폭풍… 비트코인, 트럼프 취임 이후 12% 급락
- - 미국의 관세전쟁으로 가상자산 시장에서 하락세 지속 - 비트코인 9만5000달러대로 하락, 리플은 4.23% 하락 -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발표로 가상자산 낙폭 확대, 불확실성 증가하여 변동성 커져
[11] 美SEC, 가상자산 행보 빨라졌다... 솔라나 현물ETF 승인 절차 돌입
- - 미국 SEC, 비트코인·이더리움 ETF에 이어 솔라나 등 알트코인 기반 ETF 승인 검토 중 - SEC '크립토 태스크포스' 통해 가상자산 규제 체계 구축 계획, 제도권 편입 추진 - SEC의 가상자산 정책 TF 출범, 적극적인 규제 환경 조성 및 규제 경계 설정 계획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