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News
2025년 2월6일(목) IT일반
토니치코
2025. 2. 6. 05:41
News Pick
By KREMA
2025/02/06 (목)
2025/02/06 (목)
[1] 산업·외교·국방부 딥시크 접속 차단…원전 公기업도 생성형 AI 제한
- - 중국 AI '딥시크'의 개인정보 수집 의혹으로,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접속 차단 조치 - 산업통상자원부 등 국가 기밀 정보 다루는 부처, 딥시크 이용 차단 시작 - 산업부, 국방부, 외교부 등 민감 정보 다루는 부처들이 딥시크 이용 차단 조치에 동참
[2] AI 현장 가고 수출기업 만나고…여야 정책 경쟁 가속
- - 국민의힘, 민생정책 주도권 탈환 위해 평택 반도체 특화단지 방문하고 전력망 특별법 처리 촉구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기업 친화적 이미지 강조하며 중도층 마음 사로잡기에 나섬 - 여야, 조기대선 가능성 속 민생 정책으로 중도층 지지 확보 경쟁 전개 중
[3] K투톱 'AI 전략' 비교…네이버 “데이터 주권 강화” 카카오는 “글로벌 동맹 확장”
- - 네이버의 이해진 GIO가 복귀해 온서비스와 소버린 AI 전략을 펴며 글로벌 빅테크와 AI 패권전쟁에 돌입 - 네이버는 AI 브리핑 서비스를 PC와 모바일 검색에 도입하고, AI를 활용한 쇼핑 앱 출시 계획 - 네이버는 B2B·B2G 시장 공략을 위해 중동 시장 공략을 위한 네이버 아라비아 설립 및 협력 확대 등의 전략 추진, 1조 원 상생펀드 조성 계획 - 카카오는 모델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으로 AI 사업 확장, 오픈AI와 제휴해 AI 에이전트 '카나나'에 활용 계획 - 카카오는 AI를 주요 서비스에 결합하고, 오픈AI와 공동 상품 개발도 추진 - 카카오는 AI 네이티브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포하며 커머스, 카카오T, 카카오맵, 카카오페이, 카카오뱅크, 웹툰 등에 AI를 결합할 계획
[4] 미국 턱밑까지 추격한 중국 비결, 10년 새 R&D 투자액 11.5배 ‘쑥’
- - 중국 기업들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이 10년간 11.5배 증가하여 세계 R&D 투자 상위 2000대 기업 가운데 중국 기업은 405개 늘었고 한국 기업은 14개 감소함. - 미국과 중국의 R&D 투자액은 전체의 59.5%를 차지하며 미·중이 세계 R&D 투자의 주도를 이끌고 있음. - 한국 기업의 R&D 투자액은 2023년에 5위로 올라가며 매출액 대비 R&D 집중도도 증가했지만, 미국과 중국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임.
[5] 기술 밀리지만…韓 'AI 잠재력' 세계 최상위
- - 영국 옥스퍼드인사이츠 조사 결과, 한국은 '정부AI준비지수'에서 세계 3위를 차지하며 세계 최상위권의 AI 채택 잠재력을 보여줌 - 한국은 정부(3위), 기술(4위), 데이터·인프라(2위) 부문에서 뛰어난 점수를 기록하여 미국과 싱가포르와 함께 세계적 AI 리더로 평가 - 업계 전문가들은 한국이 ICT 강국으로 도약했던 전략을 AI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한국의 AI 시장이 놀라운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함
[6] 'D·R·I·F·T' 덫에 갇힌 한국…이대론 'AI 패권시대' 구경꾼 될판
- - 한국 AI 산업의 낙오 위기: 데이터 부족과 규제 장벽으로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 확대 - 데이터 부족: 한국의 공공 데이터 활용 제한적, 민간 기업들도 독점적 데이터 확보로 생태계 확장 어려움 - 인재 유출 심화: 해외 우수 인재 유치 어려워짐, 국내 인재는 해외로 떠나는 경향 증가
반응형